신용 위험 분석가(CRA) 요약 지침 – 1부, 2장

안녕하세요! 독서하는 회사원 동기입니다 🙂

1부 1장에서는 기업신용의 정의와 신용평가를 하는 이유와 절차에 대해 살펴본다.

1부 신용분석의 기초 – 2장 신용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

기업신용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기업의 데이터와 정보가 있어야 합니다.

기업데이터는 법률이나 제도에 따라 기업이 작성·공개하는 공시자료(감사보고서, 반기보고서, 분기보고서, 사업보고서)와 신용분석가의 요청에 따라 기업이 제공하는 비공개자료로 구분할 수 있다. 분석하다.

섹션 1 공개 정보

1) 감사 보고서

1.1 감사보고서의 주요사항 : 재무제표, 주석, 외부감사인의 의견, 특별설명

1.2 감사보고서 활용시 고려사항 :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 결과, 외부감사인의 신뢰성

2) 사업보고서

2.1 사업보고서 주요항목 : 회사개요, 사업내용, 재무정보, 외부감사인의 의견, 지배구조, 주식현황,

임직원에 관한 사항, 이해관계자와의 거래현황, 보완규정

2.2 사업보고서 활용 시 유의사항 : 사업 내용 영역을 상세하게 검토하고, 비재무적 정보를 선별적으로 활용

3) 반기 및 분기 보고서

3.1 보고서 주요사항 : 감사보고서 발행 이후(결산일 이후) 발생한 경영 및 재무 변동사항 공시

3.2 업무보고서 이용 시 주의사항 : 감사보고서와 달리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이 없음

섹션 2 미공개 정보

1) 사업현황에 대한 설명

1.1 사업명세서의 주요항목 : 회사개요 및 소개, 사원현황, 영업활동, 재무활동, 투자활동 등

1.2 감사보고서 이용시 주의사항 : 검증되지 않은 자료이므로 신용분석가가 정확한 자료를 확인하여야 함

2) 면접자료

2.1 면접절차 : ① 서류심사 → ② 질의응답 ③설문지 사전 전달 ④경영면접

2.2 주요 인터뷰 질문: 비즈니스 환경 전망, 비즈니스 전략, 비즈니스 전략, 재무 전망 및 전략, 위험 관리 전략 등

제3절 데이터 정보의 신뢰성 및 적시성

1) 신뢰성

– 회사 재무정보의 신뢰성은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관리자의 윤리에 따라 회계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관리자의 윤리 및 윤리에 따라 회사의 비재무 정보의 신뢰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기업 신용 분석가는 정확한 신용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이러한 신뢰성 문제를 인식하고 있어야 합니다.

정보와 통찰력은 많은 경험을 통해 지속적으로 검증되어야 합니다.

2) 적시성

– 아무리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라도 적시에 취득·반영되지 않는 정보는 무용지물입니다.

– 데이터의 적시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업 신용 분석가는 종종 기업과 소통하고

매월 성과 검토 및 경영진 인터뷰를 실시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