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교정의 방법과 특징에 대하여

눈 시력이 나빠지면 다시 회복하기 어렵다는 걸 많은 분들이 잘 아실 거예요.그런데 평소에 눈 건강 관리에 노력하시는 분들이 적은 것 같고 오히려 소홀한 편이라 할 수 있습니다.앞서 말씀드렸듯이 시력 저하는 일상 속에서 많은 불편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평소 관리가 중요합니다.그렇다면 시력을 나쁘게 만드는 원인은 무엇일까요?오늘은 시력 저하의 원인, 교정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시력을 나쁘게 하는 요인은 다양합니다.영양상태, 실내습도, 자외선, 흡연 그리고 유전적인 요인 등이 있습니다.그러나 현대인의 눈을 나쁘게 하는 대표적인 요인은 바로 전자기기의 장시간 사용입니다.스마트폰, 컴퓨터 등 전자기기 화면에서는 짧고 강한 파장을 가진 청색광이라고 불리는 블루라이트가 방출됩니다.블루라이트에 안구가 장시간 노출되면 피로가 쌓일 수 있고 쌓인 피로로 인해 눈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어 건조증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심하면 망막에 손상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평소 전자기기 사용 시간을 줄여야 합니다.이로 인해 굴절 이상이 발생하는 것이 시력 저하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특히 굴절 이상 중 근시의 경우 한 번 진행되면 고도 근시, 초고도 근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근시 교정은 어떤 방법을 적용해야 할까요?요즘 근시교정을 위해서 라식, 라섹 등 시력교정술을 고려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이 두 가지 방법에 대해서 조금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라식은 각막에 얇은 절편을 만든 뒤 나타난 각막 실질에 엑시머 레이저를 조사해 시력을 교정하는 방식입니다.시력을 회복하는 속도가 빨라 수술 다음날 일상생활에 복귀할 수 있고 통증도 적다는 특징이 있습니다.그러나 각막이 얇거나 근시가 있는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라섹은 라식과 달리 각막에 절편을 만들지 않고 엑시머 레이저를 조사하여 필요한 만큼의 각막을 깎아내 시력을 교정합니다.각막절편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강하고 근시가 있거나 각막이 얇더라도 교정이 가능합니다.하지만 시력 회복 속도가 느리고 조금 통증이 있다는 것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여기서 알아야 할 점은 근시가 심한 경우에는 라식 및 라식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라식과 라섹은 엑시머 레이저를 조사해 각막의 굴절력과 형태는 변화시켜 시력을 교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근시가 심하거나 각막에 상처가 있거나 너무 얇으면 적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그럼 근시 교정은 어떤 방법을 생각할 수 있을까요?각막에 닿지 않고 특수 렌즈를 삽입하는 안내 렌즈 삽입술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안내 렌즈 삽입술은 특수 렌즈를 눈 안에 삽입하여 시력을 교정하는 방법입니다.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콘택트렌즈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생체적합성이 높은 물질로 만든 특수한 렌즈를 홍채 후 수정체 앞 공간에 삽입하여 시력을 교정하는 방법입니다.근시교정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며 렌즈가 눈 속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생체적합성이 높기 때문에 광학적으로 변화가 없고 염증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안정적입니다.특히 해당 방식은 각막이 굴절 이상에 비해 얇거나 고도 근시, 초고도 근시로 인해 라식, 라섹 적용이 어려운 경우에도 교정이 가능합니다.그럼 몇 가지 특징에 대해서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안내 렌즈 삽입술은 각막에 닿지 않기 때문에 각막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정적으로 시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또한 초고도 근시 교정도 가능하고 시력 회복 속도도 빠른 편입니다.그리고 각막 시력교정술을 적용한 후 각막이 다시 늘어나 시력이 떨어지는 근시퇴행이 없어 안정적인 시력 유지가 가능합니다.만약 렌즈를 제거한 경우 수술 전 상태에서 원상복구가 가능합니다.하지만 하루 종일 두 눈을 동시에 교정하기 어렵다는 번거로움과 렌즈를 비롯한 수술에 사용되는 소모품 비용이 고가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오늘은 근시 교정 가능한 안내 렌즈 삽입술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했습니다.삼성안과의원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114 서경빌딩 7층삼성안과의원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114 서경빌딩 7층삼성안과의원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114 서경빌딩 7층